북한의 대외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01:51
본문
Download : 북한의 대외정책_98564.hwp
그러나 소련 붕괴 등 사회주의권의 몰락에 따라 새롭게 형성되는 국제질서는 북한에게 북방 삼각관계를 유지할 수 없게 만들었다.<1993,1 쿠나제 러시아 외무차관의 발언,참조>
3) 대미일 관계improvement 노력
한국의 중러 관계가 더욱 발전되는데 반해 북한은 북방삼각관계가 무너짐으로서 야기된 국제적 고립과 심각한 경제난에 처한 현실을 타파하기 위해 미일과의 관계improvement에 총력을 경주하고 있다
ㄱ. 미국관계 …(drop)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외관계사 1,2.사회과학출판사>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대외정책의 특징에 대한 북한의 주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외관계사 1,2.사회과학출판사> 북한 대외정책의 핵심은 ‘자주노... , 북한의 대외정책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북한 대외정책의 核心(핵심)은 ‘자주노...
Download : 북한의 대외정책_98564.hwp( 86 )





다.
설명
북한의 대외정책
대외정책의 특징에 대한 북한의 주장
대외정책의 특징에 대한 북한의 주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외관계사 1,2.사회과학출판사>
북한 대외정책의 key point(핵심) 은 ‘자주노선’인데,그들은 이러한 입장이 항일무장투쟁의 歷史(역사)적경험속에서 잉태되고 발전되어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3. 북한 대외 관계 現況(현황) <‘94 북한 이해 통일연수원>
1) 수교 現況(현황) -> 남북한 수교 現況(현황) 도표 참조
2) 대중러 동맹관계 조정
냉전시대 북한은 중소간의 패권 대립을 이용, 자주성을 명분으로 ‘시계추외교’를 전개하였다. (1990,9 한소 수교 1992,8 한중소교>
ㄱ. china관계 : 제한적 동맹관계 지속
한중수교 이후 북중관게를 보면 외관상 큰 alteration(변화) 는 없다
ㄴ. 러시아 관계: 동맹와해, 경제교류, 협력회복
북러관계는 군사 정치 동맹관계는 종료되었으며 국가이익에 근거한 경제교류로 변해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