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wave.kr 노동법상 쟁의행위의 제한 금지에 대한 검토 > microwave1 | microwave.kr report

노동법상 쟁의행위의 제한 금지에 대한 검토 > microwave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microwave1

노동법상 쟁의행위의 제한 금지에 대한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7 16:38

본문




Download : 노동법상 쟁의행위의 제한 금지에 대한 검토.hwp




쟁의행위의제한 , 노동법상 쟁의행위의 제한 금지에 대한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법학행정,레포트

다. 이에 따라 국가공무원법 및 지방공무원법에…(skip)
순서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노동법상 쟁의행위의 제한 금지에 대한 사항을 정리하였습니다. .

Ⅲ. 쟁의행위의 제한 법규

1. 인적범위의 제한

1) 공무원
공무Cause 근로자는 법률이 정하는 자 외에는 근로3권을 가질 수 없다. 그러나 일부 조합원에 의한 폭력 협박 등 파괴행위는 전체 쟁의행위의 정당성을 상실케하는 것은 아닐것이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폭력과 파괴행위로서 하지 못한다.

3. 수단 방법
쟁의행위는 소극적으로 업무의 정상한 운영을 저해하는 행위로서 평화적인 방법으로 행해져야 한다.

2. 목적
쟁의행위의 목적은 임금, 근로시간, 휴가, 복지, 등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사항이어야 한다.






쟁의행위의제한





노동법상 쟁의행위의 제한 금지에 대한 검토

Download : 노동법상 쟁의행위의 제한 금지에 대한 검토.hwp( 53 )


노동법상 쟁의행위의 제한 금지에 대한 사항을 요약하였습니다.
노동법상%20쟁의행위의%20제한%20금지에%20대한%20검토_hwp_01.gif 노동법상%20쟁의행위의%20제한%20금지에%20대한%20검토_hwp_02.gif 노동법상%20쟁의행위의%20제한%20금지에%20대한%20검토_hwp_03.gif 노동법상%20쟁의행위의%20제한%20금지에%20대한%20검토_hwp_04.gif 노동법상%20쟁의행위의%20제한%20금지에%20대한%20검토_hwp_05.gif 노동법상%20쟁의행위의%20제한%20금지에%20대한%20검토_hwp_06.gif

Ⅰ. 들어가며
Ⅱ. 쟁의행위의 정당성에 의한 제한
Ⅲ. 쟁의행위의 제한 법규
Ⅳ. 자주적 법규에 의한 제한·금지
Ⅴ. 마치며



Ⅱ. 쟁의행위의 정당성에 의한 제한

1. 주체
단체교섭의 당사자로서 노동조합이어야 하고 비록 설립신고를 하지는 않았지만 근로자단체도 사단으로서 조직성과 노동조합으로서의 실질적 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면 단체교섭을 요구할수 있고, 교섭결렬시에는 쟁의행위도 할 수 있다아
또한 조합원은 노동조합에 의하여 주도되지 아니하는 쟁의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비조합파업 또는 산고양이파업 등은 법률상 금지되고, 또한 조합의 승인없이 또는 그 지시에 반하여 쟁의행위를 한 경우에는 형사상 책임이 면제될 수 없다.
전체 9,59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microwave.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