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1 22:34
본문
Download :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hwp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
(등)개인윤리와사회윤리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
순서
Download :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hwp( 88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1. 서론
·우리 사회의 총체적 부패의 Cause
1) 사회윤리적 입장 : 나쁜 제도나 구조의 improvement 혹은 개혁이 시급
2) 개인윤리적 입장 : 인간 치유가 급선무
3) 제 3의 입장 : 제도의 improvement과 개개인의 인간교육 혹은 도덕교육의 실시를 병행(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대립을 잘못으로 지적함)
2. 개인윤리와 사회윤리를 정의(定義)하는 세 가지 방법
1) 공간적·지역적 범위를 기준으로 구분 - 개인윤리, 사회윤리, 국가윤리가 본질적으로 상이하지 않음.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므로 윤리의 본질적 구분은 불가능.
2) 윤리가 탐구 혹은 지향하는 目標(목표)에 따른 구분 - 개인적 차원의 선과 사회적 차원의 선의 엄격한 구분 불가능.
3) 방법론적 정의(定義) 으로 파악
- 바람직한 사회 건설을 위한 방법론상의 입장 차이 (고범서 교수)
- 개인주의적 의지자유론 (황경식 교수)
- 사회결정론과 의지자유의 양립가능성에 입각한 구조 결정론적 사회윤리 (손봉호 교수)
3.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대비의 사회 철학적 뿌리
·개인이 먼저인가 사회가 먼저인가
1) 개인주의적 입장
2) 전체론적 입장
3) 둘 다 잘못 된 것으로 간주
·개인주의 (개인실재론, 사회유명론) - ‘건강한 개인, 건강한 사회’
1) 발생론적 개인주의 : 발생학적으로 개인이 사회보다 먼저 발생 (근세 사회계약론자)
2) 규범적 개인주의 : 개인의 이익과 권리를 사회의 이익과 권리보다 더 우선시켜야 함
3) 방법론적 개인주의 : 사회에 대한 설명(說明)은 개인들에 대한 설명(說明)으로 환원되어야 함 (포퍼-사회란 것은 理論적 구성물에 불과)
·전체론(사회실재론, 개인유명론) - ‘건강한 사회, 건강한 개인’
1) 사회유기체설(스펜서) : 사회를 살아있는 생명체와 유사한 것으로 보는 사회실재론의 고전적 형태
2) 사회실재론(뒤르껭) :사회를 부분들의 총화보다 크고, 그것들과 구별되는 하나의 총체 즉 하나의 대상물로 간주. 사회의 독자적…(drop)
설명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등)개인윤리와사회윤리 ,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인문사회레포트 ,
다.